양고네 연구노트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양고네 연구노트

메뉴 리스트

  • 홈
  • 태그
  • 미디어로그
  • 위치로그
  • 방명록
  • 분류 전체보기
    • 공인중개사
    • 개발과 트러블슈팅
    • 학술
    • 아무거나 리뷰
    • 테니스
    • 정보통신
    • 회사

검색 레이어

양고네 연구노트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학술

  • waitKey(0)가 작동하지 않는다면?

    2010.12.06 by 양고

  • 이미지 센서 크기

    2010.11.18 by 양고

  • Connect to remote graph가 안 될 때

    2010.11.15 by 양고

  • DeckLink 필터그래프

    2010.11.08 by 양고

  • DeckLink Capture

    2010.11.04 by 양고

  • Shot Boundary Detection

    2010.10.27 by 양고

  • Performance Profiling

    2010.10.25 by 양고

  • 점과 선, 선과 선 사이의 거리

    2010.10.20 by 양고

waitKey(0)가 작동하지 않는다면?

OpenCV의 waitKey는 최소 하나의 창이 오픈돼있을 때만 작동한다고 한다. 창이 있어야 키를 입력 받을 수 있다는 어쩌면 당연한 사실~!

학술 2010. 12. 6. 19:13

이미지 센서 크기

2/3" 이미지센서는 진짜 2/3 inch * 25.4 mm/inch = 약 16.9 mm 일까? 유감스럽게도 그렇지 않다. 2/3" 이미지센서의 대각선 길이는 그보다 1.5배 정도 작은 11mm이다. 이 바보같은 "인치" 시스템이 붙인 크기는 1980년 이전의 비디오 카메라에 쓰이던 비디오카메라튜브의 유리 외경을 말하는 것이다. http://en.wikipedia.org/wiki/Image_sensor_format#Table_of_sensor_sizes http://www.dcinside.com/study/ccd_realsize.htm 센서가 클수록 화질이 좋은 이유는 무엇인가? 이 문제도 전에는 '광량이 많아서'라고 생각했다. 그러나 다시 한 번 생각해보면 광량은 전적으로 화각에 달린 것이지 센서 크..

학술 2010. 11. 18. 16:19

Connect to remote graph가 안 될 때

cmd> regsvr32 quartz.dll 이것만으로 해결했다. 진작에 좀 찾아볼 girl~!!! 출처: http://www.eggheadcafe.com/software/aspnet/30608048/graphedit-cant-connect-to-remote-graph-anymore.aspx 다음은 캡처 프로그램을 돌리고 spying한 결과이다. spy한 그래프 - 하는 일에 비해 꽤 복잡한데 Afreeca UVUY to YUY2 filter가 의심스럽다. Afreeca 필터를 제거하니 Conexant Color Format Converter가 붙었다. 해당 프로세스의 CPU 점유율은 처음보단 좀 낮아진 것 같다 (10~30% 사이). SampleGrabber의 콜백에서는 바로 리턴했을 때의 수치이다.

학술 2010. 11. 15. 16:45

DeckLink 필터그래프

YUV4:2:2 --> RGB conversion. for(int y = 0; y 4byte 한 픽셀로 { U0 = pbFrame[y*3840 + x + 0]; Y0 = pbFrame[y*3840 + x + 1]; V0 = pbFrame[y*3840 + x + 2]; Y1 = pbFrame[y*3840 + x + 3]; Y = (Y0+Y1)/2; frame[(1080-y)*1920 + x + 0] = min(Y + 1.772*(U0-128), 255); // B frame[(1080-y)*1920 + x + 1] = min(Y - 0.344*..

학술 2010. 11. 8. 16:36

DeckLink Capture

예상 외로 imshow 따위에서 CPU를 점유하는 것으로 밝혀짐. 향후 진행: GetBytes -> YUV422-BGR 변환 ㄷㄷ

학술 2010. 11. 4. 18:13

Shot Boundary Detection

double comp = compareHist(mHistPrev, mHist, CV_COMP_CORREL); if(comp < 0.85) ...

학술 2010. 10. 27. 21:50

Performance Profiling

대략 이와 같이 하면 편함. int j = 0; LARGE_INTEGER freq, t[20]; QueryPerformanceFrequency(&freq); QueryPerformanceCounter(&t[j++]); // warp cvWarpPerspective(iObj, iPred, &_homography); // takes 10ms !! QueryPerformanceCounter(&t[j++]); printf("warping: %g ms\n", (t[j-1].QuadPart - t[j-2].QuadPart)*1000./freq.QuadPart); // ...

학술 2010. 10. 25. 10:11

점과 선, 선과 선 사이의 거리

출처: http://mathworld.wolfram.com/Point-LineDistance2-Dimensional.html 1. 점과 선의 거리 (2D) If the line is specified by two points and , then a vector perpendicular to the line is given by (12) Let be a vector from the point to the first point on the line (13) then the distance from to the line is again given by projecting onto , giving 2. 점과 선의 거리 (3D) Let a line in three dimensions be specified by ..

학술 2010. 10. 20. 23:59

추가 정보

인기글

최신글

페이징

이전
1 2 3 4 5 6 7 ··· 14
다음
TISTORY
양고네 연구노트 © Magazine Lab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