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고네 연구노트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양고네 연구노트

메뉴 리스트

  • 홈
  • 태그
  • 미디어로그
  • 위치로그
  • 방명록
  • 분류 전체보기
    • 공인중개사
    • 개발과 트러블슈팅
    • 학술
    • 아무거나 리뷰
    • 테니스
    • 정보통신
    • 회사
홈태그미디어로그위치로그방명록
  • 공인중개사
  • 개발과 트러블슈팅
  • 학술
  • 아무거나 리뷰
  • 테니스
  • 정보통신
  • 회사

검색 레이어

양고네 연구노트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학술

  • 논문 및 국내/국제 특허 출원 시기의 중요성

    2015.11.27 by 양고

  • 이항 5차방정식의 계수 구성

    2015.04.10 by 양고

  • Comparative evaluation of feature extraction methods for human motion detection

    2014.10.31 by 양고

  • Optimal Video Delivery in Mobile Networks Using a Cache-Accelerated Multi Area eMBMS Architecture

    2014.10.21 by 양고

  • Accurate and practical calibration of a depth and color camera pair

    2012.02.13 by 양고

  • Surface Fitting in MATLAB

    2012.01.26 by 양고

  • Pinhole movement while zooming

    2011.12.08 by 양고

  • PDF Unlock

    2011.10.31 by 양고

논문 및 국내/국제 특허 출원 시기의 중요성

논문 및 국내/국제 특허 출원 시기의 중요성에 대한 BRIC 게시물 http://www.ibric.org/myboard/read.php?Board=sori&id=39589

학술 2015. 11. 27. 09:36

이항 5차방정식의 계수 구성

은 다음과 같다. f(x,y) = p00 + p10*x + p01*y + p20*x^2 + p11*x*y + p02*y^2 + p30*x^3 + p21*x^2*y + p12*x*y^2 + p03*y^3 + p40*x^4 + p31*x^3*y + p22*x^2*y^2 + p13*x*y^3 + p04*y^4 + p50*x^5 + p41*x^4*y + p32*x^3*y^2 + p23*x^2*y^3 + p14*x*y^4 + p05*y^5

학술 2015. 4. 10. 14:43

Comparative evaluation of feature extraction methods for human motion detection

AIAI 2014 그리스 Patras 대학 등 개요 가속도계(accelerometer) 등의 센서는 소형이고 저전력인 장점으로 인해 사람의 동작을 인식하는 데 널리 쓰이고 있다. 본 연구는 가속도계를 이용하여 사람의 동작을 인식하는 문제에 있어서, 여러 가지 전처리(pre-processing)와 분류기(classifier)의 종류에 따른 실험을 수행하고 그 결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우선 가속도계로부터 입력되는 x,y,z 신호에 대해 윈도우(W)를 적용하고 이 윈도우에 대해 아무 처리도 하지 않은 신호와, N 가지의 필터를 적용한 신호, 그리고 기하학적 표현을 거친 신호로 각각 (동시에) 전처리한다. 전처리 과정을 거친 신호들로부터 통계적 특징(features)과 물리적 특징을 추출하고 이로부터 분류기가 ..

학술 2014. 10. 31. 11:07

Optimal Video Delivery in Mobile Networks Using a Cache-Accelerated Multi Area eMBMS Architecture

AIAI 2014 그리스 국영통신사 OTE 등 개요 LTE는 가변 LTE bit rate와 SFN, 그리고 캐리어 가변 설정 등을 지원하는 eMBMS로 진화하였다. 복수의 eMBMS 서비스 지역은 CDN 측면에서 효율적인 스펙트럼 활용과 방송/푸시 미디어 전송을 가능하게 한다. 콘텐트 캐싱은 콘텐트를 엔드유저 쪽에 가깝게 가져옴으로써 서비스 성능과 지연을 향상시키는 기법이다. 캐시에는 hierarchical/distributed caching이 있다. LiveCity라는 European Reaserch Project가 본 연구의 타깃이다. (ON/OFF 소스모델) 본 연구는 ON/OFF 모델 서비스에서 최적의 캐시 사이즈를 결정하는 간단한 알고리듬을 제안한다. 2005년 3GPP는 UMTS에서의 mult..

학술 2014. 10. 21. 13:32

Accurate and practical calibration of a depth and color camera pair

2011 CAIP [개요] 목표는 Kinect calibration. 열심히 calibration해서 manufacturer calibration data와 비교, 결과가 비슷함을 보이고 있다. Manufacturer calibration data를 그냥 쓰면 될 것 같은데... -.- depth discontinuity 정보를 쓰지 않기 때문에 robust하다고 주장. [정보] Kinect는 depth가 아닌 disparity를 제공한다...?! 그 관계는 z = 1/α(d-β) 라는군. [방법] 1. initial calibration of color camera with Zhang 2. initial calibration of depth camera with user-pointed 4 corners..

학술 2012. 2. 13. 10:01

Surface Fitting in MATLAB

MATLAB에서는 curve fitting과 surface fitting 툴박스를 제공한다. sftool를 입력하여 실행하거나, 그림과 같이 시작 > 툴박스 > curve fitting > surface fitting tool 로부터 열자. load franke를 입력하면 x,y,z에 예제 데이터가 로드된다. x,y에 대한 z의 변화를 다항식 등으로 피팅하는 것이 목적이다. 여러 가지 fitting 또는 interpolation 방법을 선택할 수 있다. 우선 linear interpolation: cubic interpolation: 1차 다항식: 2차 다항식: 5차 다항식: 차수가 증가함에 따라 SSE가 줄어드는 것을 볼 수 있다.

학술 2012. 1. 26. 15:57

Pinhole movement while zooming

'줌인아웃 시에 프로젝션 중심은 어떻게 움직이는가'에 대한 고찰. 혹시 양넘들이 보고 뭔가 틀린걸 지적해줄지도 모르므로 영어로 써본다. How the projection center of a camera moves while zooming, when it is modeled as a pinhole camera? Here's a common misunderstanding: If this is the case, the projection center will move forward while zooming. Actually it doesn't, in a real zoom camera. Here's a simplified zoom lens: When it is zoomed in or out, the 'inci..

학술 2011. 12. 8. 16:38

PDF Unlock

참고: http://olpost.com/v/1985464 논문 볼 때 PDF에 형광펜 쳐가면서 보는데, 가끔씩 (보안)이라 표시되면서 주석을 달 수 없는 경우는 상당히 짜증난다. 논문을 훔친 것도 아니고 다 돈 내고 받는 건데... 잡스러운 언락언록 프로그램 받아서 돌려봤지만 효과가 없었다. 이 사이트가 최고: http://www.pdfunlock.com/ 형광펜 마구 칠해야지 잇힝~

학술 2011. 10. 31. 15:07

추가 정보

인기글

최신글

페이징

이전
1 2 3 4 ··· 14
다음
TISTORY
양고네 연구노트 © Magazine Lab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

티스토리툴바

단축키

내 블로그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Q
Q
새 글 쓰기
W
W

블로그 게시글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E
E
댓글 영역으로 이동
C
C

모든 영역

이 페이지의 URL 복사
S
S
맨 위로 이동
T
T
티스토리 홈 이동
H
H
단축키 안내
Shift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