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 2006
홋카이도 대학
내용
[Color histogram을 이용한 object search]
- color indexing: 그냥 color histogram 비교
- vector quantization: needs many references with different illuminations. 각각의 illumination으로 찍은 이미지의 히스토그램을 하나의 벡터로 보는건가? 모르겠다.
- color correlogram: utilizes color arrangement information for matching through the distribution of distances between colored pixels - 앗... 생각하던 그건가? ㅋㅋ
- color co-occurence histogram: uses frequencies of combinations of two colors as features, not orientation-invariant.
- (제안) color reach histogram: introduces rough infomration of positions of pixels. 아이디어는 컬러 차원에다 reach(중심으로부터의 거리)를 추가한 것으로 극히 단순함. contribution을 늘리기 위해(?) range finder의 depth 정보를 함께 사용하였다.
비교
전혀 the state of the art라 할 수 없는 CI, VQ와 비교.
아마도 correlogram보다 성능이 나쁜 듯. computation time 등 핑계가 있겠지만...
반성과 희망
역시나... 깊게 생각하는 것도 좋지만 survey가 우선이다! 다음에 볼 것은 correlogram + tracking (particle filter 등)!
희망: 이런 단순한 아이디어에 기반한 논문도 PR에 실렸다는 것. 근데 그 전에 유사 논문이 많이 있었을 것 같은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