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고서도 쓰고 '1日1讀' 계획도 계속할 겸 HCI 2009 논문 분석을 계속하고 있다. 그 동안의 밀린 분량을 만회하고 앞으로 읽을 분량도 미리 확보할 수 있을 것 같다. 한글인데다 수식으로 머리 안 싸매고 그냥 죽 훑어보면 되는 인문학적 논문들이 많기 때문에 아주 좋다. 사실 논문 두 편은 금요일 저녁 약속 장소인 양재로 가는 지하철 안에서 선 채로 읽었다 - 물론 제대로 읽진 못했지만.
그런데 오늘 본 논문 세 편에서 모두 '~로서'(as a ~)를 '~로써(with the~?)'로 잘못 사용하고 있어서, 내가 모르는 사이에 맞춤법이 바뀌기라도 한 것인지 고민에 빠졌다. 한 두 명도 아니고 이렇게 일관되게 틀리면 내가 잘못 알고 있는 것이 아닌가 의심하게 된다.
어쨌거나, '하루에 논문 한 편 씩!'이라는 취지는 좋지만, 점점 논문 분석을 허술하게 하는 부작용이 나타나고 있는 것 같다.
"Social TV의 사용자 경험 디자인 요소 추출에 관한 연구" (2/13)
Extracting user experience design elements in social TV - focusing on case studies - 이정연, 이승원 (홍익대학교)
미국 Nielsen Media Research에 의하면 TV 쇼를 시청하면서 10대의 45%가 문자메시지를 통해 친구들과 의견을 교환하고 있다고 한다. 2004 Alcatel의 AmigoTV, 2006 Xerox PARC의 Social TV, TNO의 ConnecTV, Motorola의 Social TV 연구 등 사례를 분석하였다. 예측할 수 있듯이 스포츠에서 Social TV가 최대의 효과를 누릴 것이라고 한다. 지금까지의 Social TV의 연구 방향은 크게 PC의 SNS를 모방한 형태와, 가상 공간을 제시하는 방법, 그리고 오디오 채널을 이용하여 동시 시청 경험을 극대화하는 방법 등이다.
이와 같은 사례 분석을 통해 UX 디자인 요소를 추출하였는데, 커뮤니케이션 채털, co-viewing 경험, interaction 요소와 device, contents 선택과 개인화, 접근성과 사용성, UI 디자인, 가상 커뮤니티 등이 그것이다.
"IPTV 이용자 복지 증진을 위한 정책방안 연구" (2/16)
A study on the user welfare in the IPTV - 유세경, 김미선, 김숙 (이화여자대학교)
IPTV 이용자 복지 증진을 위한 정책방안을 정보 맞춤형 매체로서의 content 차원, 유료 매체로서 요금 차원, 새로운 디지털 매체 접근으로서 digital literacy 세 가지로 분류하여 제안함. IPTV법 제20조항 제1항 '콘텐츠 동등접근권'은 사업자간 자유주의 공정거래를 유도하고 배타적 거래행위를 규제함으로써 시청자의 이익을 실현하겠다는 기본취지에서 신설되었다고 하나 지상파 방송사와 PP, SO는 사업자간 자율계약을 보장하지 못한다는 측면을 골자로 반대의사를 표명하고 있다. 이러한 콘텐츠 동등접근권 이해관계자들의 논란은 주로 사업자 차원의 수익성과 효율성 논리로 논의되고 있을 뿐 실질적으로 이용자 차원의 이익 증대에 대해서는 간과되고 있다는 분석이다.
IPTV 사업자는 2006년 하나TV 서비스를 시초로 해서 2008년 9월 Broad&TV, MegaTV, myLGtv 3개사가 확정되었다. 3개 업체 모두 지상파 방송을 제공하기로 했지만 현재 실시간 서비스 중인 곳은 MegaTV 뿐인 것 같다. 세계적으로 IPTV가 가장 활성화된 지역은 유럽이며, Social TV에서와 마찬가지로 IPTV에서도 스포츠중계권 확보가 관건으로 보인다.
"Tensor 기반의 Multi-linear analysis를 이용한 active appearance model" (2/17)
Active appearance model using multi-linear analysis based on tensor - 조경식, 김용국 (세종대학교)
AAM은 얼굴 인식과 추적 등에서 좋은 성능을 보이고 있다. 그러나 AAM fitting 알고리즘은 일관되지 않은 조명이나 가림 등에 의해 실패할 가능성이 높은데, 본 연구에서는 PCA를 higher-order singular value decomposition으로 대체하여 이를 보완하였다. Yale face database를 사용하여 실험한 결과, 실시간 구현이 가능한 성능으로 robust한 결과를 얻었다.
"에지 예측을 기반으로 한 효율적인 영상 디블러링" (2/18)
Efficient image deblurring using edge prediction - 조성현, 이승용 (포항공과대학교)
한 장의 영상으로부터 모션 블러를 제거하는 기존의 방법들은 주로 total variation이나 natural image statsistics를 이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bilateral filter와 shock filter, 그리고 image gradient의 조작을 통해 선명한 에지를 예측하고, 이를 통해 모션 블러를 추정한다. bilateral filter와 shock filter를 이용한 선명한 영상 예측 - blur kernerl 추정 - 영상 복원의 세 단계를 통해 blur된 영상을 복원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