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고네 연구노트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양고네 연구노트

메뉴 리스트

  • 홈
  • 태그
  • 미디어로그
  • 위치로그
  • 방명록
  • 분류 전체보기
    • 공인중개사
    • 개발과 트러블슈팅
    • 학술
    • 아무거나 리뷰
    • 테니스
    • 정보통신
    • 회사

검색 레이어

양고네 연구노트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학술

  • On the direct minimization of ray distances

    2011.10.17 by 양고

  • [OpenCV] BRIEF에는 FLANN을 사용할 수 없다.

    2011.09.15 by 양고

  • SURF에서 det(H)가 쓰이는 이유

    2011.09.02 by 양고

  • What are eigenvalues?

    2011.08.19 by 양고

  • Lucas-Kanade method의 이해

    2011.08.17 by 양고

  • 이미지 2장 만으로 스테레오 카메라를 캘리브레이션할 수 있는가?

    2011.08.03 by 양고

  • 50개의 위대한 데이터 시각화 예제

    2011.07.25 by 양고

  • MS워드 줄바꿈 하이픈 삽입

    2011.07.25 by 양고

On the direct minimization of ray distances

MVG says (Ch 12.1, p.311): It is clear, particularly for projective reconstruction, that it is inappropriate to minimize errors in the 3D projective space, P3. For instance, the method that finds the midpoint of the common perpendicular to the two rays in space in not suitable for projective reconstruction, since concepts such as distance and perpendicularity are not valid in the context of proj..

학술 2011. 10. 17. 17:15

[OpenCV] BRIEF에는 FLANN을 사용할 수 없다.

FLANN은 SURF와 같은 4-byte floating point 기반 descriptor에서만 사용할 수 있다. BRIEF는 (바이트 단위로 재구성된) 바이너리 스트링이기 때문에 FLANN을 사용하는 것은 어려울 듯. ㅠㅠ 해결 방안은 1. SURF로 해본다. --> 일단은 이쪽으로 MH를 실험. 2. 다른 ANN 라이브러리를 찾는다. http://opencv-users.1802565.n2.nabble.com/FLANN-help-td6185055.html FLANN works with 4 bytes descriptors because needs to calculate distances and then uses floating point values. Try to take a look at origin..

학술 2011. 9. 15. 11:33

SURF에서 det(H)가 쓰이는 이유

퇴근하고 월요일에 쓰겠음... ㅡㅡ; -월요일- 음 시간이 없으니 대충 쓰겠음 우선 블롭을 찾기 위해 다음과 같이 LoG 영상의 maxima를 찾으면 된다. 위 식에서 L은 가우시안 블러된 이미지. 원리는 에지를 찾기 위해 LoG 영상의 영교차(zero-crossing) 점을 찾는 것과 비슷하다. 이에 비해 L에 대한 헤시안은 다음과 같다. 즉 det(H) = Lxx Lyy - Lxy ^2 이다. 앞의 항은 Laplacian과 비슷한 효과를 낼 것이다. 그러나 합이 곱으로 바뀜으로써 Lxx, Lyy 둘 중에 하나가 작은 값을 가지는 경우는 배제될 것이다. 뒤의 Lxy ^2을 빼 주는 것도 마찬가지 효과를 나타낼 것인지는 잘 모르겠다. -- http://en.wikipedia.org/wiki/Blob_de..

학술 2011. 9. 2. 18:02

What are eigenvalues?

eigenvalue에 대한 간단하면서 명쾌한 설명이 있어서 링크를 남긴다... http://www.physlink.com/education/AskExperts/ae520.cfm

학술 2011. 8. 19. 11:13

Lucas-Kanade method의 이해

http://en.wikipedia.org/wiki/Lucas%E2%80%93Kanade_method 위 문서도 요약된 것이지만 한번 더 핵심만 요약하는 것에 도전한다. 도전~! 우선 한 점의 밝기는 다음 프레임에서도 (거의) 같다는 일반적인 optical flow (이하 OF) 식은 이렇다: I(x,y,t) = I(x + δx,y + δy,t + δt) I(x,y,t)를 I(x + δx,y + δy,t + δt)를 테일러 전개하면:고차항 고차항을 무시하면 처음 OF 식은 다음과 같이 정리된다: 이 식이 일반적인 (Horn 사마 등의) dense OF 계산에 쓰이는 optical flow equation이다. LK는 sparse OF이므로, regularization term 등을 추가하지 않고 대신 해..

학술 2011. 8. 17. 14:39

이미지 2장 만으로 스테레오 카메라를 캘리브레이션할 수 있는가?

http://profs.sci.univr.it/~fusiello/teaching/mvg/corsoPadova_2.pdf 답은 위 문서에 잘 정리돼 있다: "The difference between the d.o.f. of the multifocal geometry (e.g. 7 for two views) and the d.o.f. of the rigid displacements (e.g. 5 for two views) is the number of independent constraints available for the computation of the intrinsic parameters (e.g. 2 for two views)." 즉 constraints로 표현하면, F(7) = E(5) + K(2..

학술 2011. 8. 3. 15:14

50개의 위대한 데이터 시각화 예제

출처: http://www.webdesignerdepot.com/2009/06/50-great-examples-of-data-visualization/ Music, Movies and Other Media Narratives 2.0 visualizes music. Different music tracks are segmented into single channels that are then shown in a fan-like structure. Liveplasma is a music and movie visualization app that aims to help you discover other musicians or movies you might enjoy. Type in the name of a b..

학술 2011. 7. 25. 13:38

MS워드 줄바꿈 하이픈 삽입

워드질을 하다보면 다음과 같이 줄바꿈되지 않는 긴 단어에 의해서 단어 간격이 보기 싫게 늘어나는 경우가 있다. 이럴 때는 자동 하이픈(hyphen) 넣기를 통해 텍스트를 break할 수 있다. 문제는 하이픈 남용으로 인해 너무 많은 텍스트가 break된다는 것인데, 이 때문에 영어권 사용자들은 이 기능을 상당히 annoying하게 생각하는 것 같다. 그림과 같이 하이픈 넣기 옵션에서 '오른쪽 여백 크기'를 적절히 조절해주면 된다. 기본 옵션은 0.63cm였던 것 같다. 그런데 또 하나의 문제는 이미 존재하는 하이픈의 경우, 그냥 그 하이픈에서 브레이크하지 않고 굳이 새로운 하이픈을 삽입하기 때문에, 다음과 같이 하이픈이 남발되는 문서가 되기도 한다. conver-gence-accomodation이나 co..

학술 2011. 7. 25. 13:18

추가 정보

인기글

최신글

TISTORY
양고네 연구노트 © Magazine Lab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

티스토리툴바